요즘 가장 핫 하면서도 구하기 힘든 인텔 8세대 CPU 커피레이크 i7-8700K와 ASUS 막시무스 히어로 보드를 구입 했습니다. 사실 메인보드는 스트릭스급 정도 생각했었는데 CPU+메인보드 패키지로만 구할 수 밖에 없어서 막시무스 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국내 가격이 거품이 많이 끼어 있긴 하지만 보드 자체는 좋은 보드라 그냥 안고 가기로 했네요.

 

 라이젠7 1700에서 8700K로 넘어 온 이유는 게임 프레임에 욕심이 생겼기 때문 입니다. 애초에 라이젠으로 구입한 이유는 녹스를 여러개 돌리면서 스트리밍 방송을 보면서 게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였는데요. 최근 모바일 게임을 접은 터라 녹스를 돌릴 이유가 없어져서 16쓰레드를 낭비하는 것 보다 게임 프레임을 좀 더 올려 보자 해서 8700K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 막시무스가 하이엔드급 메인보드급이여서 그런지 패키지 자체가 고급스럽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패키지 구성도 일반 보급형 보드 구성품 보다 훨씬 많습니다. 스티커 같은 거는 딱히 쓸 때가 없지만;;;;; 케이스 패널 케이블 커넥터가 있는데요.  퀵 커넥터라고 하는데 이건 정말 편리했습니다.

 

▲ 4.8Ghz로 간단하게 오버클럭 해보았습니다. 바이오스 전압은 1.27v으로 설정.

 

▲ 4.8Ghz로 오버했을 때  라이젠 1800x와 비교 Cpu-z 벤치 테스트 결과 입니다. 

싱글 성능은 훨~~씬 높고, 멀티 성능은 아무래도 16쓰레드인 1800x 보다 낮게 측정이 되었는데요.

8700K가 12쓰레드인데 약 200점 정도 밖에 차이 안 나는 걸 보면 ipc 성능이 8700K 훨씬 좋다는 뜻도 되겠습니다. Cpu-z가 벤치 테스트가 라이젠에 유리하다는 점도 포함하면요.

 


게임은 제가 주로 하는 디비전 자체 벤치마크로 간단하게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그래픽 옵션은 모든 옵션을 최고로 하였습니다.

▲ i7-8700K 노오버

평균 초당 프레임 수 : 82.3 / 일반 초당 프레임 수 : 82.7 / 평균 CPU 점유율 :  19% / 평균 GPU 점유율 : 99%

 

▲ 라이젠7 1700 3.7Ghz 오버

 평균 초당 프레임 수 : 75.8 / 일반 초당 프레임 수 : 76.4 / 평균 CPU 점유율 :  22% / 평균 GPU 점유율 : 99%


i7-8700K가 약 6프레임 정도 높게 측정이 되었습니다. 실제 체감은 거의 안 나는 수준이며. 라이젠7 1700도 플레이 하기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프레임 입니다. 후처리 옵션이나 그림자 옵션 같은 티가 많이 나지 않는 옵션을 낮춰 준다면 두 CPU 모두 원활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 할 것 같습니다.


약간 충동적인 것과 욕심 때문에 i7-8700K로 넘어 오긴 했지만 솔직히 카비레이크나 라이젠을 사용한다면 구지 커피레이크로 넘어가지 않아도 될 것같습니다. 물론 i7-8700K를 쓰면  가장 최신 CPU를 쓴다는 감성을 느낄 수 있겠지만요. 거기에 구하기가 너무나 힘든 CPU이니....부러움의 대상도 될 수도 있겠죠...뭐 다 부질 없는 것이지만요... 이상 끝~~~~!!!!!

 

Posted by 다흰마루

▲ 슈퍼제트스트림 1080ti를 사용 중임에도 불구하고.... ASUS ROG STRIX 지포스 GTX1080 Ti를 구입 했습니다.

이유는...감성..;;; 메인보드를 스트릭스 보드로 바꾼게 화근이었어요....ㅠㅠ

ASUS ROG STRIX 지포스 GTX1080 Ti는 아우라싱크를 지원합니다. 별도 RGB헤더를 꼽을 필요 없고, PCI 슬롯에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메인보드 아우라싱크와 연동이 됩니다.  

 

▲흔한 박스 뒷면.

 

▲ 내부박스에도 스트릭스 로고가 똭!!

 

▲ 윗면 역시 스트릭스 로고가 있습니다.

 

▲ 패키징은 슈젯1080ti 보다 훨씬 고급스럽습니다.  저 작은 종이박스 안에는 드라이버 cd와 메뉴얼이 들어있어요.

 

▲ 패키징 자체는 고급스럽지만 구성품은 별다른게 없습니다. 그래도 슈젯1080ti 보다는 뭐가 더 들어 있긴 합니다.

 

▲ 구성품은 그래픽카드, 메뉴얼, 드라이버 cd, 스트릭스 케이블 타이, 8핀 파워 게이블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만 빼고 나머지는 다시 박스행....

 

▲ 오...스트릭스 특유의 색 바탕에 3팬 쿨링 솔루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자인은  슈젯 보다 더 마음에 들어요.

 

▲ 골드핑거(슬롯) 부분에 커버가 있습니다. 사소한 부분에도 신경을 쓴 ASUS.

 

▲ 옆 간지~ 참고로 GEFORCE GTX 부분에는 LED가 없습니당.

 

▲ 단자 부분에도 커버가 있습니다.  

 

▲ 가장 마음에 드는 백플레이트.  ROG 로고에 LED가 들어옵니다.

 

▲ 슈퍼제트스트림 1080ti와 ASUS ROG STRIX 지포스 GTX1080 Ti 비교. 길이는 3팬인 스트릭스 1080ti가 조금 더 길고, 사진은 없지만 두께는 슈젯이 약간 더 두껍습니다.

 

▲ 역시 감성의 스트릭스..... 아직 아우라싱크와 연동이 안된 상태 입니다.

 ▲  CPU 쿨러도 RGB 였으면 좋겠지만 RGB 가운데 외로이 화이트 LED를 밝히고 있는 모습도 나름 마음에 듭니다.

성능은 당연한 얘기지만 같은 1080ti이기 때문에 슈젯이랑 차이 없었습니다. 파스는 돌려 보지 않았는데 디비전 프레임을 보니 똑같더라구요.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를 같은 ROG STRIX로 통일 시키니 마음의 안정감이 찾아왔습니다.  사실 슈젯 색깔도 나쁘진 않는데 메인보드를 바꾸고 나서 너무 튀어 보이긴 했음...


이상 끝~~~~!!!!!!!!! 

Posted by 다흰마루

▲ ASRock AB350 PRO4에서는 기존 사용 중 이었던 삼성 PC4-1700(2133Mhz) 8GB 램이 3200Mhz 오버가 가능하였는데요. ASUS ROG STRIX X370-F 게이밍 보드에서는 3200Mhz이 불가능 하였고, 2666Mhz가 최대 였습니다. 사실 체감 성능 차이는 느껴지지 않았지만 3200Mhz으로 사용하다가 2666Mhz 사용하기가 조금 찝찝하더라구요. 그래서 3200Mhz가 확실히 보증된 XMP지원 램을 구입했습니다.

인텔은 XMP, AMD는 AMP라고 램 자체에 설정된 오버클럭 프로파일을 불러오는 기능인데요.  국내에는 AMP 지원램이 아직 없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구입한 것이

GeIL DDR4 16G PC4-25600 CL16 EVO-X GUNMETAL RYZEN RGB 8GBx2 입니다. AMP가 아니고 XMP지만 라이젠 시스템에서 테스트를 거쳐 나온 램으로 왠만한 라이젠 시스템에서는 표기된 클럭을 보장해 줍니다.

 

▲ 그래서 패키지 박스에 라이젠 로고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AMP지원 램은 아니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패키지 구성은 설치 메뉴얼, 램 2개 각각 따로 포장되어 있고, RGB 헤더 연장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방열판은 화이트 버전과 건메탈 색상 버전이 있는데, ASUS ROG STRIX X370-F 게이밍 보드와 색깔이 비슷한 건메탈 색상을 선택했습니다. 램에도 라이젠 로고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테스트 결과 XMP기능이 정상적으로 적용이 되어 3200Mhz로 오버가 되었습니다.  램 부하 테스트도 통과 했구요.

램타이밍 역시 설정된 램타이밍 그대로 설정이 되었습니다. 사실 제가 라이젠 시스템을 써본 경험으로는 2666Mhz 부터는 체감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물론 게임에서 프레임 차이가 나긴 하지만 "와~" 할 정도의 차이는 안 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사실 왠만하면 기존 램을 2666Mhz로 오버해서 쓸까 했는데,

"그래도 전에 보드에슨 3200Mhz으로 썼는데....에이 그냥 쓸까?" 하다가 보드를 바꾸면서 ASUS AURA 싱크에 관심이 생겨 겸사겸사 교체하였습니다. 2666Mhz 쓰고 계신 분들은 구지 그 이상의 클럭 램을 20만원 이상 써가면서 바꿀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끝~~~~~~~~~!!!!


※ASUS ROG STRIX X370-F 게이밍 보드에서는 XMP 설정이 바이오스 오버트윅 탭에서 프로파일 메뉴를 선택하면 D.O.C.P 라고 나오는데요. 이게 XMP 설정하는 거에요. 제품 표기 값을 불러오려면 D.O.C.P STANDARD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Posted by 다흰마루

▲  기존 사용 중이었던 ASRock AB350 PRO4 보드에서 ASUS ROG STRIX X370-F GAMING STCOM 보드로 교체를 하였습니다. 이유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다가 뻑이 났는지 부팅이 안되더라구요. A/S를 보낼까 그냥 새거를 살까 하다가 아싸리 X370칩셋으로 업그레이드 하자 해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네..맞습니다. 그냥 충동구매 입니다. 어차피 기존 보드는 A/S 보낼 예정이라 구지 새 메인보드를 구입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스트릭스 보다 상위 보드인 크로스헤어까지 생각했지만 겨우 참았습니다ㅎㅎ

 

▲ 이게 직구를 하게 되면 훨씬 싸더라구요. 국내가 30만원 정도인데, 직구를 하게 되면 약 17만원 정도..배송비 까지 해도 거의 10만원 가까기 싸게 살 수 있습니다. 문제는 국내 A/S가 안된다는 점이....메인보드가 은근 고장이 잘 나는 부품이라 직구를 하게 되면 불안하긴 하죠. RMA를 보내면 되긴 한데 기간이...;;;

 

▲ 10만원 대 보드나, 30만원 보드나 포장 패키지는 평범 합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 ASRock AB350 PRO4 보다 구성품은 많아요. SLI 브릿지도 기본 제공 되구요.  ROG STRIX 로고 스티커, SATA3 4개, RGB 헤더 연장 케이블, 케이블타이, m.2, 나사, 드라이버CD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ASRock AB350 PRO4와 비교해 봤습니다. I/O 아머 유무의 차이가 외관상 차이가 많이 나는 것 같아요.

 

교체를 한 후 한 가지 문제가 발견이 되었는데, CPU 온도가 O으로 표시되는 문제가 있었는데요. 표시만 0으로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온도 센서 자체도 0으로 인식하여 CPU 쿨러의 RPM이 아주 저속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오버클럭하고 오버클럭 테스트 프로그램을 돌리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에러나, 다운이 발생 합니다. 당연히 바이오스는 최신 버전이구요.  해외 사이트에서 이러한 이슈가 보고 되고 있고, ASUS도 이 문제를 인지는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품 결함인지, 바이오스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인지는 조만간 제조사나 유통사에서 알려줄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문제 때문에 오버클럭 테스트는 불가하여, ASRock AB350 PRO4와 성능 테스트는 나중으로 미뤄야 겠습니다. 잠깐 테스트 해본 바로는 RAM 오버는 3200Mhz가 ASRock AB350 PRO4에서는 되었습니다만, ASUS ROG STRIX X370-F GAMING 에서는 2800Mhz까지 오버가 가능하였습니다. 

(사용 중인 램은 삼성 8GB 2133 E다이)


마음먹고 교체를 했지만 온도 관련 이슈 때문에 제대로 성능 테스트를 못해 본 것이 아쉬운.....남은건 감성뿐..


끝~!!!!!!!

 

Posted by 다흰마루

7개월만에 노트북을 교체했습니다.

기존 "한성컴퓨터 XH56 BossMonster Hero6100SEH"에서 "레노버 LEGION Y520-15IKB Pro" 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기존 XH56도 CP를 i5-6600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그래픽도 지포스 GTX 960m으로 게이밍 노트북으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사양이었지만, 레노버 LEGION Y520-15IKB Pro로 교체한 이유는 멀티 태스킹 성능 부족입니다.


아래는 상세 스펙 입니다.

 

i5-6600은 4코어 4쓰레드로 녹스 플레이어를 돌리면서 다른 게임을 하면 끊김이 있거나, 프레임이 떨어 지거나 하는 증상이 있었는데요. 레노버 LEGION Y520-15IKB Pro(이하y520)를 써보니 그런 증상들이 없어졌습니다. 오히려 프레임이 더 잘 나오네요. 그래픽이 지포스 1050ti라 그런 것 같네요. 아래는 간단한 개봉 사진 입니다.

 

▲ 패키지 박스는 평범 합니다.

 

▲ 내부 포장 상태는 상당히 안전하게 잘 해놓은 것 같습니다.

▲ 구성품은 노트북, 전원 어댑터 끝.  덮개는 확실히 전에 쓰던 한성 XH56보다 훨씬 마음에 듭니다. 소재도 약간 카본 느낌이 나는 무광으로 되어 있는데 지문은 은근 잘 묻는 재질의 플라스틱 입니다. 레노버 로고에는 LED가 없는데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네요.

 

▲ 전체적인 디자인은 게이밍 노트북 같이 생겼습니다. 키보드에는 붉은 LED가 나오며, 터치패드도 독특한 레이아웃 입니다.

 

▲ 숫자패드 키배열이 이상한데, 적응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습니다.

▲ 키보드 LED는 끌 수도 있습니다.

 

▲ Y520의 기본 램은 8GB, M.2 NVMe 삼성 128GB 인데, 저는 여기서 램 8GB추가, HDD 1TB 추가 하였습니다.

▲ 추가한 램과 HDD를 장착하기 위해 뒷판을 분해한 모습. 램은 왼쪽에 은색박스 같은 걸 열고 장착하면 되고, HDD는 오른쪽 SATA 슬롯에 장착하면 되는데, 문제는 HDD 고정 브라켓이 없습니다;;;; 그냥 장착해도 뒷판 자체에 스폰지 같은게 있어서 막 흔들흔들 거리진 않겠지만 그래도 불안하니 장착한 뒤 종이 테이프로 고정 시켜 주었습니다. 나중에 정품 브라켓이 있다는 걸 알게 되서 알아보니 국내에는 판매하는데가 없고, 해외 직구로 구매를 해야하는데 가격이 35달러..;;; 걍 테이프 붙이고 쓸려구요...


한성 XH56 쓸 때 보다 확실히 쾌적해졌습니다. 디스플레이도 똑같은 IPS지만 Y520 LG IPS 패널을 사용해서 그런지 약간 더 밝은 느낌이구요.  디비전은 XH56 은 하옵에서 30~40프레임 나왔고, Y520은 중하옵~중옵 에서 40~50프레임 정도 나오네요. 녹스를 돌리고 있다고 하면 XH56은 디비전이나 롤을 플레이 못할 정도로 프레임 저하가 있었던 반면, Y520은 프레임 저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가장 차이가 많이 났던 점이 또 하나 있는데 바로 소음 입니다. XH56은 게임을 할 때 윙~하는 쿨링 소음이 컸는데 Y520은 XH56과 비교해서 확실히 덜 납니다.


만약 100만원 이하 게이밍 노트북 중에서는 가성비가 최고 인 것 같으니, 만약에 적당한 게이밍 노트북 구입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Y520 적극 추천 합니다.

 

Posted by 다흰마루

Nvidia 게이밍 그래픽카드 중 타이탄XP 다음으로 성능이 좋은 "이엠텍(XENON)] 지포스 GTX1080 Ti JETSTREAM D5X 11GB" 구입 했습니다.

작년에 GTX 970을 샀다가 색감 때문에 다시 R9 390을 구입 했었던 적이 있어서 구입하기까지 정말 망설였지만,

'그래 성능만 보자' 라고 생각하고 질러버렸습니다.

 

얼마 전 32인치 QHD(2560*1440) 모니터 구입 후 평소 하던 게임들의 프레임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는데요.

디비전을 예로 들자면 2560*1440 상옵에서 수직동기화 60프레임 걸었을 때 390X는

최소 30대, 평균 40 초중반,  최대 60 프레임 정도 나왔는데요. 60프레임이 나오는 경우는 오브젝트가 거의 없는 화면 한정이었습니다.

플레이 하는데는 큰 문제는 없는데, FHD에서의 부드러움을 보여주지 못해서 답답한 점이 이었습니다.

FHD 환경에서 390X는 상옵에서 거의 60 언저리가 나왔습니다.

 

AMD 베가를 기다렸다가 구입 하려고 했지만 원활한 화면에 대한 갈망(?) 때문에 참지 못하고, 지포스로 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색감 때문에 선뜻 결정하기에는 어려웠지만  QHD환경이다 보니 성능이 먼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1070과 1080을 생각했습니다만, 또 구입을 하고 옵션 타협 하며 프레임을 맞출바에 이것저것 신경 쓸거 없이 1080ti로 가는게 정신 건강에 좋을 것 같았습니다.

비레퍼 중에서 하급인(만리,msi 아머등) 보다는 약간이나마 급이 높은 중급비레퍼인 슈퍼제트스트림으로 결정 하였습니다. 가격도 괜찮았구요. 상급 비레퍼(AMP 익스트림이나 씨호크 등)은 생각하지도 않았습니다. 슈젯 보다 20만원 이상 가격차이가 나더라구요.

 

▲ 패키징은 100만원 짜리 제품의 패키지라고 본다면 단순 합니다.

 

▲ 구성품도 8핀 연장 케이블과 드라이버 CD가 끝....

 

▲ 말로만 듣던, 사진으로만 보던 일명 "포카리"를 실물로 보니 생각보다 제 취향ㅎㅎㅎ

 

▲ 옆간지(LED)가 있으며, 방열판이 많이 노출되는 디자인 입니다. 두께도 두꺼워서 PCI슬롯을 3칸이나 차지 하네요.

 

▲ 백플레이트가 있어서 기판 휨 방지가 기본적으로 되는데, 워낙 무거워서 지지대는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사운드 카드와 거리가 좁긴 한데 쿨링에 큰 영향은 없을 것 같고....SLI 못 할 듯..(할 생각이 1도 없긴 하지만..)

 

 

■ 간단 성능 테스트 - 파이어 스트라이크 벤치 테스트 결과

▲ 그래픽 스코어가 28,733점으로 라이젠 1700 환경에서 정상범주 점수가 나왔습니다. i7-7700에서는 3만점 근처로 나온다고 하네요.

 

디비전에서는 모든 옵션 아주높음(울트라)에서 60프레임 수직동기화 걸고 거의 60 프레임 고정으로 나오네요.

간헐적으로 2~3프레임 떨어지긴 하나 크게 문제되진 않구요.

 

참고로 390x 파스는 13,000점대였는데요. 1080ti와 2배 이상 성능 차이네요.

 

무엇보다 디비전 풀옵이 60 고정이라는게 너무 좋습니다.

 

Posted by 다흰마루
이전버튼 1 2 3 4 5 6 7 ··· 10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DahinMaru 4K 직캠, 리뷰 블로그
다흰마루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